본문 바로가기

부동산과 경제요!

전세 사기 유형, 그리고 전세 계약 전/후 할일

당신의 재산 지키기! 오늘도 불어나는 사기 유형 5가지 파헤치기

안녕하세요, 여러분. 사기 유형은 날이 갈수록 늘고 있습니다. 우리의 재산은 안 늘어나지만, 최소한 사기만은 당하지 않기 위해 지키야할 점들을 함께 알아봅시다!

 

 

유형1. 깡통전세

전세 사기 패턴 이미지

 

특히 시세를 파악하기 힘든 신축빌라에서 이 사기 유형이 주로 발생합니다. 집주인은 전세 보증금을 부풀려 임대차 계약을 체결한 후, 바지사장에게 명의를 넘기게 됩니다.

 

 

유형2. 전월세 이중계약

전월세 이중 계약

한 임차인이 집주인 행세를 해 새로운 세입자와 전세계약을 체결하거나, 집주인에게는 월세계약을 체결했다고 속이며 대리인을 통해 새로운 세입자와 전세계약을 맺게 됩니다. 이러한 사기 방식을 '이중계약'이라고 하며, 대리인이 보증금을 가로채는 경우가 발생합니다.

 

 

 

유형3. 동일물건 이중~삼중 계약

동일 물건 다중 계약

하나의 임대물건에 여러 세입자와 각각 전세계약을 체결하여 보증금을 가로채는 사기입니다. 집주인 혹은 공인중개사가 여러 세입자와의 전세계약을 맺어 여러 명의 피해자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

 

 

 

유형4. 신탁사 소유 건물 사기

신탁사 건물 사기

집주인이 신탁사에 소유권을 넘긴 뒤 은행대출을 받습니다. 이후 세입자를 속여 전세계약을 체결하며 보증금을 가로챕니다. 신탁 물건의 경우 집주인의 말을 쉽게 믿어선 안 되며, 신탁사에 정확한 정보를 문의해야 합니다.

 

 

 

 

 

계약 전 해야할 일
  • 공인중개사사무소의 정상등록 여부 확인: 국가공간정보포털에서 확인하거나 해당 지역 부동산관련 부서로 문의하면 됩니다.
  • 기본 서류 확인: 건축물대장, 등기부등본, 납세증명서 등의 서류를 확인해야 합니다. 나쁜 집주인은 여기서 조회하고 깡통전세는 여기서 검색하세요.
  • 집주인 본인 확인: 신분증을 확인하고 집주인의 얼굴을 대조하는 것이 필요합니다.

 

 

 

계약 후 해야할 일
  • 확정일자 및 전입신고: 계약서에 확정일자를 부여받고 전입신고를 해야 합니다.
  • 주택 전월세 신고: 2021년 6월 1일부터 주택 전월세 신고가 의무화되었습니다.
  • 임대(전세) 보증금 보증 가입: HUG 반환보증, SGI서울보증

 

 

 

 

 

여러분, 항상 주의하고 안전한 계약을 위해 노력합시다!